6일(현지 시각) 뉴욕증시가 오름세를 이어갔다. 미국과 멕시코 간 무역협상에 대한 기대감과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이 연일 주가 상승에 힘을 실었다.
이날 다우 존스 지수는 전장보다 181.09포인트(0.71%) 상승한 2만5720.66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17.34포인트(0.61%) 오른 2843.49를 기록했다. 나스닥 지수는 40.08포인트(0.53%) 뛴 7615.55에 장을 마감했다.
미국과 멕시코가 협상을 이어가는 가운데 양국이 불법 이민자 문제에 합의할 수 있을 것이란 보도가 주가를 끌어올렸다. 블룸버그는 이날 소식통을 인용해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가 불법 이민을 앞세운 멕시코 관세를 보류하는 방안을 저울질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양국 협상 대표는 워싱턴에서 이틀째 논의를 지속했다.
워싱턴포스트(WP)는 양측 협상단이 미국의 이민 요청자 추방 권한을 강화하고, 멕시코의 이민자 유입 방지 억제 노력을 대폭 강화하는 방안을 골자로 하는 합의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멕시코는 방위군 6000명의 과테말라 국경 지역 배치를 약속한 것으로 전해졌다.
WP는 다만 "이는 최종안이 아니며 트럼프 대통령이 합의안을 받아들일지도 미지수"라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트위터를 통해 회담 결과에 만족스럽지 않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연준이 금리를 낮출 것이란 기대도 이어졌다. 유럽중앙은행(ECB)이 기존의 통화완화 정책을 유지하겠다고 밝힌 것이 한몫했다. ECB는 기준금리 등 정책 금리를 동결하고, 현재의 금리 수준을 최소한 내년 상반기까지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앞서 올해 말까지 현 수준 금리를 유지하겠다고 했던 데서 기간을 6개월 연장한 것이다.
마리오 드라기 ECB 총재는 이날 리투아니아의 수도 빌뉴스에서 열린 통화정책회의 뒤 기자회견에서 "포워드 가이던스가 금리 인상 쪽으로 치우쳐 있다는 인식은 잘못된 것"이라며 "필요하다면 금리를 인하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미·중 무역전쟁에 대한 우려는 다소 커졌다. 트럼프 대통령이 ‘주요 20개국(G20) 회담 직후 추가 관세 시행을 결정하겠다’는 의사를 거듭 밝힌 가운데 중국 상무부가 미국이 주장하는 대(對)중 무역수지 적자 규모가 크게 부풀려졌다고 지적한 것이다. 상무부는 중국에서 제조되는 부품의 부가가치 등을 모두 따져 볼 때 지난해 미국의 적자 규모는 미 행정부가 밝힌 4190억달러의 37%에 불과한 1530억달러로 추산된다고 했다.
이날 경제 지표는 혼재됐다.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신청 건수가 21만8000건으로 전주 대비 3000건 늘어났다. ADP 민간 고용 지표가 사실상 제자리 걸음을 한 데 이어 고용 지표가 또 한 차례 후퇴한 셈이다. 지난 1분기 비농업 생산성 확정치도 전분기 대비 연율 3.4%(계절 조정치) 상승했지만 지난달 발표된 예비치 3.6% 상승보다 하향 조정됐다.
그러나 지난 4월 무역적자는 전월 대비 2.1% 감소한 507억9000만달러(계절조정치)를 기록했다. 시장 전망치인 508억달러에 부합하는 수준이다. 지난 3월 무역적자는 500억달러에서 519억1000만달러로 상향 조정됐다.
업종별로는 전 업종이 오른 가운데 유가 반등에 힘입어 에너지가 1.73% 상승했다. 기술주도 1.09% 올랐다. 종목별로는 보험업체 시에나가 회계연도 2분기 실적 호조에 힘입어 26% 폭등했고, 식품회사인 JM스머커가 매출 부진에 2% 선에서 하락했다.
FF 금리선물 시장은 이달 25bp 기준금리인하 가능성을 20.8% 반영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에서 변동성지수(VIX)는 전 거래일보다 0.99% 하락한 15.93을 기록했다.
이날 유럽증시는 혼조세를 보였다. ECB의 정책금리 동결과 이탈리아·미국계 자동차업체 피아트 크라이슬러(FCA)와 프랑스 르노자동차의 합병 무산 등에 반응했다.
범유럽 지수인 스톡스 50 지수는 3338.41로 전 거래일 대비 0.05% 하락했다. 프랑스 CAC 40 지수는 0.26% 하락한 5278.43으로 장을 마쳤다. 독일 DAX 지수도 1만1953.14로 거래를 마쳐 0.23% 내렸다. 반면 영국 FTSE 100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55% 오른 7259.85를 기록했다.
'자유로운 경제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숫자로 보는 미중 무역전쟁 여파 (0) | 2019.06.10 |
---|---|
기술상장 훈풍에…올 코스닥 진입 최대 예고 (0) | 2019.06.10 |
미국 장단기금리차: 경기침체라기보다 연준의 금리인하 기대감 (0) | 2019.06.04 |
[속보] 美, "한국 '환율 관찰대상국' 유지" (0) | 2019.05.29 |
[시선집중] 현대중공업은 왜 회사를 분할하려고 할까?[물적분할] (0) | 2019.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