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글로벌 리스크
10대 글로벌 리스크
요약 : The Economist誌의 산하 연구기관인 EIU(Economic Intelligence Unit)는 ‘10대 글로벌 리스크’를 선정,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1) 미-중 무역분쟁이 글로벌 무역전쟁으로 변모 : 발생가능성 High, 영향력 Very High
○ 미국과 중국은 ’19.6.29일 개최된 정상회담을 통하여 추가 3,250억달러 상당의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부과를 보류하고 무역협상을 재개한다고 발표 - 미국 대선 일정을 감안할 때 트럼프 대통령이 ’20년까지 추가적으로 양국간 갈등을 고조시키지 않을 가능성이 크나, - 무역분쟁이 단순히 무역불균형 개선을 겨냥하는 것이라기보다는 경제 및 정치적 패권전쟁의 성격을 띄기 때문에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
* 기술 및 지적재산권 보호 등 핵심 쟁점에 대하여 양국 간 상당한 이견이 존재하여 협상 과정에 난항이 예상
(2) 美 기업의 대규모 부채에 따른 경기둔화 증폭 우려 : 발생가능성 Moderate, 영향력 High
○ 낮은 금리 수준이 지속되어 GDP 대비 미국 기업부채 비율은 ‘08~09년 금융 위기보다 높은 수준으로 증가 - ‘19.3월 GDP 대비 미국 기업부채 비율은 47%로 금융위기 당시의 45%대를 상회 - 부채의 질 또한 하락하였는데, ‘18년 말 기준 미국의 투자등급(investment grade) 회사채 중에서 가장 낮은 등급인 BBB등급이 차지하는 비중은 50% 수준으로 ‘06년 35%, ‘97년 28% 대비 크게 증가
○ 대규모 기업부채로 미국의 경기 침체 발생시 금융부문의 하강이 예상보다 급격 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가 부각 - 경기 하강 시 이익 감소, 평가등급 하락을 사유로 투자자들이 자금을 회수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기업들이 부채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것이 일반적 - 이와 동시에 기업의 투자·고용 축소가 나타나 미국 내에서 상품에 대한 수요 및 투자 규모가 줄어들어 주변국들에 영향을 미칠 전망 - 이에 따라 EIU는 대규모 기업부채에 대하여 미국의 경기침체를 글로벌 경기 하강으로 증폭시킬 수 있는 위험 요인으로 평가
(3) 광범위한 신흥국 경제 위기 확산 가능성 - 발생가능성 Moderate, 영향력 High
○ ’18년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정치 불안, 정책 신뢰성 저하 등으로 신흥국 내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되며 본격적인 신흥국 금융위기 발생 - 아르헨티나·터키 등에서 높은 물가상승률, 재정적자 등 내부적인 불안요인에 더하여 미국 기준금리 인상으로 화폐가치가 급락*하자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 우려가 확대 * 전년 대비 ’18년 환율 상승률은 아르헨티나는 102.3%, 터키는 39.6%를 기록
(4) 중국경제 경착륙 우려 : 발생가능성 Low, 영향력 Very High
○ 중국의 성장률 둔화로 ‘민스키 모멘트*’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으며, 급격한 경기둔화에 따른 신용버블붕괴가 경착륙으로 연결될 가능성 * 과도한 부채확대에 의존한 경기호황이 끝난 뒤 채무자의 부채상환 능력이 악화되어 채무자가 건전한 자산까지 팔기 시작하면서 자산가치가 폭락하고 금융위기가 시작되는 시기를 의미 - EIU는 경기둔화가 주택가격 하락과 함께 발생하고, 동시에 주로 도매조달에 의존하는 다수의 중소은행들이 파산한다면 중국 정부가 경제에 대한 통제력을 유지하기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
○ 중국경제 경착륙이 현실화될 경우 신흥국 및 선진국을 포함한 글로벌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 - 중국 경제의 경착륙은 글로벌 원자재 가격의 하락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라틴 아메리카·중동 등 원자재 생산국을 포함한 신흥국 경제에 대한 타격이 예상 - 또한, 중국 수요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선진국의 제조업과 유통업도 영향을 받을 전망
(5) 공급 부족에 따른 글로벌 유가 급등 : 발생가능성 Low, 영향력 High
(6)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에 따른 무력 충돌 : 발생가능성 Low, 영향력 High
(7) 사이버 공격에 따른 인터넷 기능 저하 : 발생가능성 Moderate, 영향력 Low
(8) 정치적 교착상태에 따른 노딜 브렉시트 발생 : 발생가능성 Moderate, 영향력 Low
(9) 한반도에서의 군사적 충돌 : 발생가능성 Very Low, 영향력 Very High
(10) 이탈리아의 정치·금융 불안정으로 인한 은행 위기 : 발생가능성 Low, 영향력 Low
중국 희토류 무기화에 대한 대응전략
요약 :
◆ 최근 미중 무역분쟁으로 인해 중국은 보유 중인 희토류를 ‘전략 무기화’ 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음. 이에 미국, 일본 등은 폐광산 생산 재개, 중국외 신규광산 개발 등으로 대응 중임
◆ 대부분의 희토류를 수입하는 국내의 경우도 수입처 다변화, 대체재 개발, 북한 희토류 개발 준비 등 ‘자원 무기화’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준비가 필요할 것임
자유로운 생각 및 의견 :
위 리포트는 KDB 미래전략연구소 주간 KDB 리포트에서 발췌하고 개인적인 생각을 덧붙인 글로, 상업적인 용도는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주간 KDB 리포트는 http://rd.kdb.co.kr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거시 경제 리포트 > 주간 이슈 리포트(K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슈브리프] 7월 3주차 KDB 리포트 (0) | 2019.07.15 |
---|---|
[이슈브리프] 7월 2주차 KDB 리포트 (0) | 2019.07.15 |
[이슈브리프] 7월 1주차 KDB 리포트 (0) | 2019.07.01 |
[이슈브리프] 6월 5주차 KDB 리포트 (0) | 2019.06.25 |
[이슈브리프] 6월 4주차 KDB 리포트 (0) | 2019.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