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은행 디지털 전환의 특징과 시사점
국내 은행 디지털 전환의 특징과 시사점
요약 : 국내 은행권은 핀테크 기업의 금융업 진출이 본격화된 '16년~'17년 이후 디지털 전황을 핵심 경영과제로 선언했다. 국내 은행 디지털 전환의 주요특징은 전담조직 신설, 소매금융 중심 전략추진, 조직 문화 혁신과 전행적 디지털 역량 강화 등이다. 대부분 초기 단계로 모바일 플랫폼 및 업무 프로세스 개선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향후 AI 및 빅데이터 분야의 가시적인 성과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자유로운 생각 및 의견 : 요즘 은행에는 IT 부서와는 별도로 디지털 부서가 신설되는 추세이다. 디지털 조직은 비대면 채널을 담당하던 기존 조직을 확대, 개편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그래서 기존의 비디지털 서비스를 디지털화하거나 전사적 디지털 전략 기획 및 실행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IT 부서는 이와 달리 IT 인프라 관리 및 유지를 지원하는 부서가 되었다.
디지털 조직은 기업금융보다는 소매금융 중심으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모바일 앱 등 채널 중심의 고객 편의성 증대에 집중된 경향이 있다. 실제로 모바일 앱에서 AI 상담봇과 채팅으로 민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상담봇으로 해결이 어려울 경우 즉시 상담사와 문자 혹은 전화로 연결된다. 이는 은행에 접수되는 상담부분을 상담사 연결 없이 해결할 수 있어
국내 사모투자(벤처펀드‧PEF) 시장 현황과 과제
요약 : 국내 사모투자 시장은 벤처펀드와 PEF로 크게 나뉘며 가파른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으나, 개별 펀드의 규모, 투자분야 등 성장경로에서는 벤처펀드와 PEF가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글로벌 트렌드인 테크기업에 대한 대규모 투자에 비추어 보면 그 차이가 더욱 뚜렷하다. 대규모 성장자금이 필요한 스케일업, 신산업 투자 대응을 위해 국내도 운용사 저변확대에서 나아가 펀드 대평화, 투자분야 전문화 등 질적도약이 필요하다.
자유로운 생각 및 의견 : 국내 벤처펀드 시장은 개별 펀드 규모의 대형화가 뚜렷하지만, PEF 시장은 소형화 추세가 지속되고 있다. 국내 PEF는 전통산업 위주로 투자하고 있어 글로벌 시장의 Mega Tech Fund 트렌드와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불법폐기물 발생 원인과 처리 방향
요약 : 처리시설 부족과 제도 강화 등으로 불법폐기물이 다량 발생하여 사회적 환경적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불법폐기물의 신속한 처리와 함께 폐기물의 안정적인 처리를 위해 민간 공공차원의 처리시설 확충을 위한 지원과 역할이 필요하다.
자유로운 생각 및 의견 :
위 리포트는 KDB 미래전략연구소 주간 KDB 리포트에서 발췌하고 개인적인 생각을 덧붙인 글로, 상업적인 용도는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주간 KDB 리포트는 http://rd.kdb.co.kr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거시 경제 리포트 > 주간 이슈 리포트(K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슈브리프] 6월 2주차 KDB 리포트 (0) | 2019.06.03 |
---|---|
[이슈브리프] 5월 5주차 KDB리포트 (0) | 2019.05.27 |
[이슈브리프] 5월 3주차 KDB 리포트 (0) | 2019.05.13 |
[이슈브리프] 5월 2주차 KDB 리포트 (0) | 2019.05.09 |
[이슈브리프] 4월 5주차 KDB리포트 (0) | 2019.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