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투자Master
자본에 대한 시각을 키우기 위해 운영하고 있습니다.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Notice

1. 더욱 빨리지고 있는 고령화 속도

요약 :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향후 13년간 연평균 4.8%(2017~2030년)의 높은 증가세를 보이며 고령화 수준이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에서 가장 빠른 고령화 속도를 보이고 있는 우리나라는 현재의 출산율을 지속할 경우, 당초 예상보다 고령화 속도가 더욱 빨라질 가능성이 있다. 고령화 인력 구조하에서 경제의 성장성 확보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통해 사회적 갈등과 연기금, 건보료 등 비용 문제 충격을 최소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자유로운 생각 및 의견 : 얼마 전 삿포로에 여행을 다녀왔는데, 신치토세 공항에서 새로운 장면을 목격했다. 맥도날드 등에서 노인 일자리 사업의 일환으로 아르바이트 하는 것은 보았지만 공항에서 외국인을 대상으로 사진촬영과 지문등록을 도와주는 일을 하는 것은 처음 보았다. 우리나라만큼이나 고령화가 심한 일본이 공항에까지 노인 일자리를 만들었다는 사실에 놀랐다.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2018년에 0.98명으로 조사되어 1명이 되지 않는다. 새롭게 태어난 아이는 줄어들고 노인 인구만 많아지는 이 상황은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경제를 운영할 수 있는 생산가능인구가 점점 줄어들면 대한민국은 지금보다 더 활력을 잃어 언젠가 국가 소멸 위기가 올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불행 중 다행이라고 여겨야할 지 모르겠으나, 인공지능과 로봇이 많은 일자리를 대체하여 사람이 필요없게 되는 상황에서는 오히려 좋은 현상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인공지능과 로봇이 사람을 완전히 대체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므로, 대한민국은 장기적으로 생산성이 떨어져 경제가 순탄하지는 않을 것 같다.

정부는 최우선적으로 고령인구 구조를 감안한 국가 경제의 성장 시스템을 확보해야 각종 사회적 갈등과 연기금, 건보료 등 비용문제 충격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자신을 페미니즘 대통령이라 칭하는 정부는 그만 좀 물러서고 남녀 갈등을 해소하여 출산율을 높이고 화목한 사회를 만들 수 있는 정부가 나오길 바란다.


2. 재생에너지 트렌드로 부상하는 미니그리드

요약 : 전 세계적으로 재생에너지 시장의 성장이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개도국을 중심으로 재생에너지 미니그리드 보급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재생에너지 미니그리드는 개도국의 전력화를 이끌고 있는 한편,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최신 디지털 기술을 융합한 미래형 미니그리드로 진화하며 에너지 신산업 플랫폼으로 각광받고 있어 관련 시장의 지속적인 확대가 기대된다.

*미니그리드 : 소규모 독립적 분산 전원을 중심으로 전력의 생산, 공급, 관리가 가능한 전력망.

자유로운 생각 및 의견 : 미니그리드는 처음 들었다. 미니그리드는 스마트그리드의 축소형으로 전력공급 회사가 각 가정으로 일방향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기존 전력망에 통신기능을 더하여 소비자와 양방향으로 실시간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쉽게 말하면,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소비자와 전력회사가 실시간으로 전기사용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게 되어 소비자는 전기요금이 쌀 때 전기를 쓰고 전기제품이 자동으로 전기요금이 싼 시간대에 작동하는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력공급자 입장에서는 전력사용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전력을 저장하거나 탄력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미니그리드는 가정용 소규모 발전기라고 생각하면 쉬운데, 예를 들어 옥상에 태양광 발전기를 설치하는 것이다. 그래서 미니그리드를 통해 만들어진 에너지를 저장해두었다가 사용하거나 전력회사에 되팔 수도 있다. 개도국은 우리나라처럼 인프라가 잘 갖추어져 있지 않아 집집마다 전기가 공급되지 않거나 비싸다. 그런데 이러한 미니그리드를 이용하면 전기를 이용한 편리한 생활이 가능해지고 개도국의 경제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최신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에너지를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고 환경보호에 도움이 된다. 우리나라에 미니그리드가 보급되는 것은 아직 비용 대비 효용이 떨어지는 것 같지만, 스마트 그리드로 가전제품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가능할 것이다.


위 리포트는 KDB 미래전략연구소 주간 KDB 리포트에서 발췌하고 개인적인 생각을 덧붙인 글로, 상업적인 용도는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주간 KDB 리포트는 http://rd.kdb.co.kr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posted by 투자Master